Unity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니티(Unity) - 간단한 안개 효과 (Fog) 모바일 게임에서 사용하기 좋을만한 안개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이미지처럼 지형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바탕에 안개로 사용될 Plane을 하나 만들어 줍니다. 위 이미지처럼 안개가 적용될 Plane을 만든 후 새로운 Material을 하나 생성합니다. URP를 사용한다면 Universal Render Pipeline / Particles / Unlit의 Material을 아니면 Particles / Standard Unlit의 Material을 생성합니다. Material의 Options 중 Surface Type을 Transparent로 적용해 주시고 Soft Particles를 체크하신 후 Near와 Far의 값을 조정해 주세요. 그리고 안개용으로 만들어 둔 Plane에 Material을 적용해.. 더보기 나무 소스 - 3D Low Poly 게임에 사용하려고 만든 나무 소스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세요. Tree.zip -> 블렌더 파일 및 재질 소스가 들어 있습니다. 나뭇잎. zip -> 나뭇잎을 제작할 때 사용한 포토샵 소스입니다. 처음 사용하실 때 이런 화면이 보일 겁니다. Tree.zip을 압축을 푸시면 나무에 관련된 재질들이 있는데 압축을 푼 폴더에 맞게 재질을 다시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폴더 아이콘을 누르신 후 압축을 푼 폴더에서 현재 창의 재질명과 같은 재질을 다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재질 설정을 다 해 주셨다면 3D 뷰에서 나뭇잎을 선택하신 후 오른쪽 재질 중 Style 1 ~ 5번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나뭇잎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참조) 하나의 나무에 여러 나뭇잎 재질을 사용해서 분위기에 맞는 .. 더보기 유니티 - C# 파일 생성시 괄호 위치 변경하기 자바나 플러터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유니티의 C#파일 생성 시 괄호의 위치가 달라 변경해 보았습니다. 유니티에서 C# 파일을 생성하면 public class Test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 { } } 이렇게 나옵니다. 이걸 아래 코드처럼 변경해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 더보기 유니티(Unity) 다크테마(DarkTheme) 이제 유니티의 Personal 버전에서 다크 테마로 작업하세요. 유니티 2020.1.2f1 버전과 2019.4.8 f1(LTS) 버전부터 다크 테마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유니티(Unity) 에서 Visual Studio Code 에러 대처 유니티에서 새 프로젝트를 만든 후 VSCode를 사용하려면 인텔리센스 및 기타 코드들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유니티 Package Manager의 Visual Studio Code Editor v1.1.3까진 이상 없이 작동하던 프로그램이 v1.1.4로 넘어오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으며 아직도 조금의 문제들이 남아 있는 듯합니다. 기존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Package Manager의 Visual Studio Code Editor 버전을 1.1.3으로 다운그레이드 한 후 사용하면 되긴 합니다. 다운그레이드 후 에디터에서 기능 정상작동 확인 후 다시 Visual Studio Code Editor의 버전을 현재 최신인 v1.2.1로 업그레이드하면 됩니다. 물론 이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되지만 다른 방..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